Git! 너 뭐야?
init
Git은 버전관리, 파일 리비전관리(revision)를 위한 아주 괜찮은 녀석(tool)이다.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이다. 전에는 중앙형 버전 관리 시스템(CVCS)인 SVN을 주로 사용했었는데, 회사에서도 이제 git을 사용하고 있다. Git관리를 위해 툴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가능한한 CLI를 이용하고 싶다.
이 문서는 기억력이 많이 딸리는 요즘의 나를 위해(ㅠ.ㅠ) 상황(case)별 Git 활용 방법을 정리한다.
로컬(local) PC에 새로운 저장소(repository)를 만들어야 한다.
프로젝트의 소스코드 폴더를 Git으로 관리하기 위해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려면 init
명령을 사용한다.
git init
명령을 실행하여 새로운 리파지터리를 만들고 git status
명령으로 상태를 확인한다.
$ mkdir premium $ cd premium premium/$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Users/onlydel/Sites/premium/.git/ premium/$ git status On branch master Initial commit nothing to commit (create/copy files and use "git add" to track)
깃허브에 추가된 새로운 저장소를 로컬에 클론하기
git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를 로컬로 복사하려면 clone
명령을 사용한다.
/$ git clone https://github.com/realgrid/premium.git
staged상태가 된 파일들을 다시 untracted상태로 되돌리는 방법
아래 코드는 git add .
으로 수정된 모든 파일을 staged상태로 만든 이후 특정폴더의 파일들(_drafts폴더)을 다시 untracted상태로 되돌리는 명령이다.
/$ git reset HEAD _drafts/.
/$ git reset HEAD _posts/blog/2016-04-04-git-github-what-is-this.md Unstaged changes after reset: M _posts/blog/2016-01-12-myfirst-slack-app.md D _posts/blog/2016-04-04-git-github-what's-this.md
local에 만든 저장소를 서버 remote저장소와 동기화 한다.
우선 local 저장소에 remote 저장소를 추가한다.
premium/$ git remote add origin https://onlydel@bitbucket.org/rgsuport/premium.realgrid.com.git
remote저장소에 push했는데 commit user에 email주소가 없어 인증이 안된 상태??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id@userdomain.com"
브랜치(branch)
현재 브랜치 상태 보기
$ git branch {branch-name}
새로운 브랜치 만들기
$ git branch {branch-name}
브랜치 이동하기 = HEAD가 해당 브랜치를 가르키도록 하기
$ git checkout {branch-name}
브랜치 만들면서 이동하기
$ git checkout -b buggix Switched to a new branch 'buggix'
브랜치 삭제하기
$ git branch -d buggix Deleted branch buggix (was 3b295ae).
히스토리 로그 보기
$ git log --oneline --decorate --graph --all * f15cc64 (HEAD -> dev-daelim) 대림 네번째 화면 구현 * 3b295ae (origin/master, origin/HEAD, master) 대림코퍼레이션 PS 폴더 추가 / 화면 3개 추가 * bb4cd5d js버전 템플릿 메인 페이지 수정 * 6225362 bmt: create skins folder for root * 8643321 아이네피아bmt 수정 ...
참조
ASP.NET
- OS X(10.11)에 ASP.NET Application
- OS X(10.10)에 ASP.NET 5 설치하기
- MVC Web Application에서 재사용 가능한 Authentication라이브러리 만들기
- 맥에서 ASP.NET vNext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 ASP.NET 5소개
- ASP.NET 5와 MVC 6에서 바뀌게 되는 기능 Top 10
- ASP.NET 5 스케폴딩(Scaffolding)
- MVC Controller와 ApiController의 차이점
- ASP.NET Accounts Management
- MVC를 이용해 RealGrid에 데이터를 표현하기
EF
Visual Studio
- Visual Studio Code v0.3.0
- 무서운 EF
-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없습니다.
- GitHub Extension for Visual Studio
- Visual Studio Code for Mac
- 패러렐즈 Visual Studio Text Editor 스크롤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
Another Code
- BitBucket!! 너는 또 뭐야?
- Git! 너 뭐야?
- 슬랙앱 만들기
- 품질의 기본
- 대화의 수준
- javascript tutorial
- html tutorial
- OS X에서 Paralles Windows 10 VM의 localhost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 OS X(10.11)에서 MongoDB
- OS X(10.11)에서 SVN(Subversion)
- OS X(10.11)에서 아파치웹서버 구동하기 (Virtual Hosting 구현)
- OS X(10.11)에서 메이븐(Maven)사용하기
- Jasmine을 이용한 Javascript 테스트
- Identicon
- 회사의 슬픔
- 지킬에서 사이드 메뉴 필터링 하기
- ASP.NET MVC vs WEB API
- 티스토리에서 구문 하이라이팅 기능 구현하기
Javascript
- react를 위한 webpack정리 (II) - 작성중
- react를 위한 webpack정리 (I)
- javascript에서 객체 정의
- Javascripting
- aws-ec2-amazon linux-nodejs
- Protractor
- AngulaJS 연습
티스토리(1) tistory(1) syntax highlighting(1) Visual Studio(3) ASP.NET(4) EF(3) RealGrid(2) Jekyll(2) GitHub(3) SqlServer(1) SqlServer 2014(1) MVC(2) ASP.NET 5(7) Identity(2) Account(1) Controller(1) ApiController(1) 스케폴딩(2) Schaffolding(2) MVC 6(1) 페러렐즈(2) Parallels(1) Liquid(1) Authentication(1) Entity Framework(2) Visual Studio Code(2) VS(2) VisualStudio(2) Visual Studio 2015(2) VS 2015(2) Extension(1) 잡설(3) Update-Database(1) Entension(1) 일을하지말아야지(1) osx(2) DNX(2) Iendticon(1) Jasmine(1) AngularJS(2) protractor(1) maven(1) java(1) OSX(5) yosemite(2) 메이븐(1) 요세미티(1) 서브라임(1) 아파치(2) apache(1) webserver(1) 웹서버(1) virtualhost(1) svn(1) subversion(1) 몽고디비(1) mongodb(2) localhost(1) 호스팅(1) hosting(1) VSCode(1) html(1) JavaScript(1) nodejs(2) aws(2) ec2(2) git(4) javascript(5) object(1) webpack(2) reactjs(2) react(2) browserify(2) 웹팩(3) 리액트(3) slack(1) api(1) slack app(1) 슬랙 앱(1) 깃(2) 깃허브(1) github(1) 비트버킷(1) BitBucket(1)